반응형
📊 청년 지원제도 한눈에 비교! - 네번째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의 주요 지원 제도, 한 표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특히 이번 글에서는 그중 네 번째 항목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깊이 알아볼게요. 😊
제도명대상주요 혜택
국민취업지원제도 | 만 18~34세 + 조건 | 월 50만원 × 6개월, 취업훈련 및 복지포인트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중소기업 취업자 | 기업 인센티브 지급 |
지자체 청년수당 | 시·도 거주 청년 | 월 50만원 내외 활동지원금 |
청년도약계좌 | 소득 3,600만원 이하 | 고금리 이자 + 정부지원 |
K-디지털 훈련 | 디지털 직무 교육생 | 교육비 및 취업연계 |
첨단인재육성지원 | 반도체 등 이공계 청년 | 훈련·해외 교류 지원 |
고립청년지원 | 사회적 은둔 청년 | 상담·재기 프로그램 |
보호종료 청년지원 | 아동시설 퇴소 청년 | 자립수당 최대 5년 |
NEET 복귀 프로그램 | 교육·근로 중단 청년 | 사회활동·훈련 연계 |
K-PASS 교통비 지원 | 대중교통 이용 청년 | 요금 할인 및 적립 |
"목돈 마련, 청년의 첫 디딤돌이 되어보세요."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이 매월 최대 70만 원을 5년간 저축하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최대 5천만 원 규모의 목돈을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자산 형성 금융 상품이에요.
✅ 대상 & 가입 조건
- 연령: 만 19~34세
(병역 기간 최대 6년까지 연장 인정) - 소득:
- 개인소득 기준: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250% 이하
- 기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어야 하며, 가입 전 가구원 동의가 필요
💰 저축 방법 및 혜택
- 저축 방식: 자유적립식, 매월 1천 원~70만 원 납입, 5년(60개월) 만기
- 혜택 구성:
- 은행이자 (3년 고정 + 2년 변동)
- 정부 기여금:
- 소득 수준에 따라 3~6% 매칭
- 2025년부터는 납입 한도까지 전 구간 기여금 지급 확대
-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에 세금 없음
- 만기 효과:
- 예: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기준, 매월 70만 원 저축 시 약 5천만 원 목돈 형성 가능
🧾 가입 방법 & 과정
- 비대면 신청
- 은행 앱에서 가입 가능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포함 11개은행)
- 절차 흐름
- 가입신청 → 요건 확인 (가구 정보 동의 포함) → 계좌 개설
- 가입 후 2주 이내 소요
- 가입 이후
- 청년금융컨설팅: 기초 재무 진단 및 전문가 상담 서비스 제공
- 유지 조건: 5년 만기까지 유지 (특별 사유 시 부분 해지 가능, 정부기여금 일부 수령)
📌 비교 & 핵심 포인트
항목청년도약계좌
대상 | 만 19~34세 청년 |
납입 한도 | 월 최대 70만 원 |
기간 | 5년 (60개월) |
정부 기여금 | 3~6% 매칭 (2025년부터 전 구간 확대) |
금리 | 3년 고정 + 2년 변동, 우대금리 최대 1.5% 추가 |
비과세 | 이자 소득 비과세 |
상담 | 무료 금융 컨설팅 |
목돈 규모 | 약 5천만 원 (예시 기준) |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 이런 청년에게 추천해요
- 중장기 자산 형성을 원하는 청년
- 비과세와 정부 기여금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은 분
- 5년 동안 목돈 마련을 계획하고 있는 분
💬 마무리하며
청년도약계좌는 단순 저축이 아니에요.
정부가 함께 돈을 불려주고, 전문가가 자산 관리를 도와주는 자산 형성 파트너인 셈이죠.
목돈이 필요하거나 미래를 준비 중이라면 꼭 한 번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고민하는 청년에게 다가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청년을 위한 지자체 청년수당 총정리] 서울시 청년수당 신청 후기까지! (21) | 2025.07.22 |
---|---|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23) | 2025.07.21 |
📊 청년 지원제도 한눈에 비교! (19)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