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민하는 청년에게 다가가기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by In my life 2025. 7. 21.
반응형

📊 청년 지원제도 한눈에 비교!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의 주요 지원 제도, 한 표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특히 이번 글에서는 그중 첫 번째 항목인 국민취업지원제도에 대해 깊이 알아볼게요. 😊

오늘은 그 두번째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제도명                                          대상                                                  주요 혜택
국민취업지원제도 만 18~34세 + 조건 월 50만원 × 6개월, 취업훈련 및 복지포인트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중소기업 취업자 기업 인센티브 지급
지자체 청년수당 시·도 거주 청년 월 50만원 내외 활동지원금
청년도약계좌 소득 3,600만원 이하 고금리 이자 + 정부지원
K-디지털 훈련 디지털 직무 교육생 교육비 및 취업연계
첨단인재육성지원 반도체 등 이공계 청년 훈련·해외 교류 지원
고립청년지원 사회적 은둔 청년 상담·재기 프로그램
보호종료 청년지원 아동시설 퇴소 청년 자립수당 최대 5년
NEET 복귀 프로그램 교육·근로 중단 청년 사회활동·훈련 연계
K-PASS 교통비 지원 대중교통 이용 청년 요금 할인 및 적립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중견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정부가 인건비 일부를 장려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구직자에게는 안정적인 일자리 기회를,
기업에게는 인력 확보의 부담 완화를 돕는 청년고용 정책 중 하나예요.

 

포스터


✅ 주요 지원대상

청년 구직자

  •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 청년
  • 미취업 상태인 자
  • 고용보험 이력이 없는 청년, 또는 6개월 미만 단기 근속 경험자

참여 기업

  • 중소·중견기업 및 일부 비영리법인
  • 정규직 채용을 실시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가능한 사업장
  • 4대 보험 가입 사업장

💰 지원 내용

항목내용
장려금 총액 1인당 최대 960만 원
지급 방식 1년 간 월 80만원 × 최대 12개월 분할 지급
지원 조건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유지 시 분할 지급 시작
 

☑ 기업은 청년 1인 채용 시 최대 960만 원을 받게 되고, 청년은 안정적인 정규직 일자리를 얻게 되는 구조입니다.


📝 신청 방법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누리집 접속
    👉 고용정책
  2. 기업 회원가입 및 참여신청
  3. 청년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4. 지원금 신청서 제출
  5. 확인 및 지급

📌 신청 및 지급 관리는 고용노동부 및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담당하고 있어요.


🧭 제도 활용 팁

  • 기업은 청년 채용 전 사전 참여신청이 필수예요!
  • 청년 역시 고용보험 가입 이력근속 요건을 잘 확인해야 해요.
  • 이 제도는 청년이 1년 이상 근속할 수 있는 기업에서 더욱 효과적이에요.

🎯 이런 청년에게 추천해요!

  • 안정적인 첫 정규직 일자리를 찾고 있는 청년
  • 구직활동 중에 지원 제도와 연계된 기업에 관심이 있는 분
  • 정부지원 사업을 활용해 이력서에 정규직 경험을 쌓고 싶은

💡 마무리하며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단순한 장려금 제도를 넘어
청년 일자리의 질적 향상과 기업의 채용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이에요.

정부지원금으로 시작된 일자리가 청년의 경력이 되고,
기업에겐 지속가능한 인재로 이어지는 다리
가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