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타 2급 필기 준비: 커핑(Cupping)이란? 감각으로 커피를 이해하는 바리스타의 첫걸음
커피를 ‘눈’으로 보고, ‘코’로 맡고, ‘입’으로 느끼는 행위,
그 모든 과정을 총칭하는 말이 바로 **커핑(Cupping)**입니다.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에서도 꼭 알아야 하는 감각 평가 항목,
오늘은 커핑의 정의부터 SCA 기준 평가 절차까지 정리해보려 해요 😊
💡 커핑(Cupping)이란?
**커핑(Cupping)**은 다양한 커피 원두의 품질, 향미, 산미, 바디감 등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감각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 커핑의 목적
- 생두 또는 로스팅된 원두의 결점 여부 파악
- 원두의 향미 특성 분류 및 비교
- 블렌딩이나 추출 조건 설계에 참고
☕ 커피의 향과 맛을 직접 느끼고 비교하며 분석하는,
바리스타의 기본 감각 훈련이 바로 커핑이에요.
🧪 감각 평가 항목 (SCA 기준)
SCA(Specialty Coffee Association)에서는 커핑 시 다음의 9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Fragrance / Aroma | 분쇄 원두와 추출 커피의 향 | 향의 선명도, 복합성 |
Flavor | 커피 전체의 종합적 맛 | 프루티, 초콜릿, 꽃향 등 |
Aftertaste | 마신 뒤 입 안에 남는 향 | 길이, 깨끗함, 유쾌함 |
Acidity | 신맛의 밝기와 품질 | 산미의 질감과 복합성 |
Body | 입 안에서 느껴지는 무게감 | 묵직함 vs 가벼움 |
Balance | 향과 맛의 조화도 | 산미, 단맛, 쓴맛의 조화 |
Sweetness | 자연스러운 감미로움 | 꿀, 시럽, 과일 단맛 |
Uniformity | 동일한 컵의 일관성 | 샘플 간의 차이 여부 |
Clean Cup | 결점 향미가 없는지 | 잡미, 이상 향 배제 |
📌 이 9가지 항목은 각 0~10점 만점으로 채점되며, 총점을 통해 커피의 등급이 결정됩니다.
🧂 SCA 커핑의 실제 순서
커핑은 그저 ‘커피를 마셔보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기준에 따라 단계별로 진행하는 체계적 과정이에요.
🔄 커핑 절차 요약 (SCA Standard Cupping Procedure)
1. 원두 준비 | 약 8.25g의 커피를 5개 잔에 계량 | 품질 일관성 확보 |
2. 분쇄 후 향 맡기 (Fragrance) | 분쇄된 원두의 향을 맡음 | 건향(Dry Fragrance) |
3. 물 붓기 & 습향 맡기 (Aroma) | 93℃ 물을 붓고 향을 맡음 | 습향(Wet Aroma) |
4. 크러스트 깨기 | 4분 후 표면 커피층을 깨면서 향 맡음 | 가장 강렬한 향 분출 |
5. 떠오른 찌꺼기 제거 | 스푼으로 깨끗이 걷어냄 | Clean Cup을 위한 과정 |
6. 식히며 테이스팅 | 온도별 풍미 확인 | 70도씨 |
7. 슬러핑(Slurp) | 소리 내며 마셔 입 전체에 퍼지게 함 | 혀, 입천장, 코 동시 자극 |
8. 감각 평가 | 향, 산미, 단맛, 바디감 등 기록 | 커핑 폼에 점수 기재 |
9. 애프터 테이스팅 | 식은 후 여운, 결점 확인 | 잔향 및 마무리 상태 평가 |
🖊 커핑 시 유의할 점
- 커핑은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조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 - 샘플로스팅: 커핑 전24시간 이내, 적어도 8시간 정도 숙성, 로스팅정도는 라이트~라이트 미디엄 사이의 SCA 로스트 타일 #55에 해당피를 ‘눈’으로 보고, ‘코’로 맡고, ‘입’으로 느끼는 행위,
- 그 모든 과정을 총칭하는 말이 바로 **커핑(Cupping)**입니다.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에서도 꼭 알아야 하는 감각 평가 항목,
오늘은 커핑의 정의부터 SCA 기준 평가 절차까지 정리해보려 해요 😊
💡 커핑(Cupping)이란?
**커핑(Cupping)**은 다양한 커피 원두의 품질, 향미, 산미, 바디감 등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감각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 커핑의 목적
생두 또는 로스팅된 원두의 결점 여부 파악
원두의 향미 특성 분류 및 비교
블렌딩이나 추출 조건 설계에 참고
☕ 커피의 향과 맛을 직접 느끼고 비교하며 분석하는,
바리스타의 기본 감각 훈련이 바로 커핑이에요.
🧪 감각 평가 항목 (SCA 기준)
SCA(Specialty Coffee Association)에서는 커핑 시 다음의 9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항목 설명 주요 평가 포인트
Fragrance / Aroma 분쇄 원두와 추출 커피의 향 향의 선명도, 복합성
Flavor 커피 전체의 종합적 맛 프루티, 초콜릿, 꽃향 등
Aftertaste 마신 뒤 입 안에 남는 향 길이, 깨끗함, 유쾌함
Acidity 신맛의 밝기와 품질 산미의 질감과 복합성
Body 입 안에서 느껴지는 무게감 묵직함 vs 가벼움
Balance 향과 맛의 조화도 산미, 단맛, 쓴맛의 조화
Sweetness 자연스러운 감미로움 꿀, 시럽, 과일 단맛
Uniformity 동일한 컵의 일관성 샘플 간의 차이 여부
Clean Cup 결점 향미가 없는지 잡미, 이상 향 배제
📌 이 9가지 항목은 각 0~10점 만점으로 채점되며, 총점을 통해 커피의 등급이 결정됩니다.
🧂 SCA 커핑의 실제 순서
커핑은 그저 ‘커피를 마셔보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기준에 따라 단계별로 진행하는 체계적 과정이에요.
🔄 커핑 절차 요약 (SCA Standard Cupping Procedure)
단계 내용 도구 및 설명
1. 원두 준비 약 8.25g의 커피를 5개 잔에 계량 품질 일관성 확보
2. 분쇄 후 향 맡기 (Fragrance) 분쇄된 원두의 향을 맡음 건향(Dry Fragrance)
3. 물 붓기 & 습향 맡기 (Aroma) 93℃ 물을 붓고 향을 맡음 습향(Wet Aroma)
4. 크러스트 깨기 4분 후 표면 커피층을 깨면서 향 맡음 가장 강렬한 향 분출
5. 떠오른 찌꺼기 제거 스푼으로 깨끗이 걷어냄 Clean Cup을 위한 과정
6. 식히며 테이스팅 온도별 풍미 확인 70도씨
7. 슬러핑(Slurp) 소리 내며 마셔 입 전체에 퍼지게 함 혀, 입천장, 코 동시 자극
8. 감각 평가 향, 산미, 단맛, 바디감 등 기록 커핑 폼에 점수 기재
9. 애프터 테이스팅 식은 후 여운, 결점 확인 잔향 및 마무리 상태 평가
🖊 커핑 시 유의할 점
커핑은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조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 샘플로스팅: 커핑 전24시간 이내, 적어도 8시간 정도 숙성, 로스팅정도는 라이트~라이트 미디엄 사이의 SCA 로스트 타일 #55에 해당
- 커핑 스푼, 동일 용량의 원두, 물 온도, 시간, 컵 모양까지 표준화되어야 함
- 커핑은 감각 훈련과 동시에 과학적 분석 행위임
🎓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 요점 정리
- 커핑(Cupping): 커피의 향미를 평가하는 감각적 절차
- 향 평가 단계: 프레그런스 → 아로마 → 노즈 → 애프터테이스트
- 9가지 SCA 평가 항목 기억하기
- 커핑 순서와 기준 온도(93℃, 4분 등) 이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