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것 DIY
☕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준비 -커피의 등급 나누기 – 나라별 기준
In my life
2025. 7. 3. 17:14
반응형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에는 농부의 손길, 기후, 고도, 그리고 '등급'이라는 기준이 담겨 있어요.
커피는 단순한 원두가 아니라, 품질을 나누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가공, 유통, 소비되는 농산물이랍니다.
오늘은 나라별로 커피를 어떻게 등급 분류하는지,
그리고 한국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커피 등급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감성적으로 풀어볼게요.
🔍 커피 등급이란?
커피의 ‘등급’은 맛의 품질을 측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생산국에서 원두를 평가하는 상대적 기준이에요.
보통 아래 항목을 기준으로 등급을 나눕니다:
- 재배 고도 (해발 고도)
- 스크린 사이즈(원두 크기)
- 결점 수 (Defects)
- 컵 프로파일 / 향미 평가
- 밀도 및 수분 함량
나라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품종이라도 나라에 따라 등급 명칭과 기준이 달라요.
🌍 나라별 커피 등급 기준
국가 등급 명칭 주요 기준 특징
에티오피아 | Grade 1 ~ Grade 9 | 결점 수 + 가공 방식 (워시드/내추럴) | Grade 1이 최고 품질, 스페셜티 분류 |
콜롬비아 | Supremo / Excelso | 스크린 사이즈 (원두 크기) | Supremo가 크고, Excelso는 중간 크기 |
브라질 | NY2, Screen Size, 산토스(Santos) | 결점 수 (NY 기준), 스크린 사이즈 | NY2(결점 4개 이하), 산토스는 수출 브랜드명 |
케냐 | AA / AB / PB | 스크린 사이즈 (크기 순) | AA가 가장 큼, PB는 둥근 원두(피베리) |
파나마 | SHB (Strictly Hard Bean) | 재배 고도 (1370m 이상) | 고산지대 커피, 게이샤 품종으로 유명 |
과테말라 | SHB / HB / EP 등 | 고도 + 스크린 사이즈 + 수분 함량 | SHB가 최고등급, 수출용 EP 등 분류도 있음 |
예멘 | 없음 (지역명 중심) | 생산 지역명 중심 (모카 마타리 등) | 등급 대신 지역명으로 품질을 구분 |
인도네시아 | G1, G2 등 (Grade system) | 결점 수 + 수분 + 수확방식 | G1이 가장 높은 품질 등급 |
🇵🇦 파나마: SHB (Strictly Hard Bean)
- SHB: 고도 1,370m 이상에서 재배
- **SHG (Strictly High Grown)**과 같은 의미
🌸 특히 파나마 게이샤(Geisha) 품종은 SHB 등급 중에서도
세계 최고가 커피로 불릴 만큼 향미가 뛰어나요.
☕ 한국에서 인기 있는 고급 커피
- 한국은 세계적으로 커피 소비가 높은 나라 중 하나로, 스페셜티 커피와 싱글 오리진 원두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졌어요.
그중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는 대표 원두 4종을 소개할게요:- 예가체프 (에티오피아)
- 케냐 AA
- 과테말라 안티구아
- 브라질 산토스
🌸 1. 예가체프 (Yirgacheffe, Ethiopia) - ☕ 예가체프는 스페셜티 커피의 대명사로 불리며,
핸드드립 커피의 꽃향기와 산뜻한 산미를 좋아하는 분들께 인기가 많아요. - 항목설명
생산지 에티오피아 남부 시다모 지역, 고도 1,700~2,200m 가공 방식 워시드 (습식 가공) 맛의 특성 꽃향기, 재스민, 레몬 같은 밝은 산미, 깔끔한 피니시 최고 품질 등급 Grade 1 (워시드)
🍇 2. 케냐 AA (Kenya AA) - 📌 강렬한 향미와 구조감 있는 커피를 좋아하는 분들께 케냐 AA는 최고의 선택이에요.
에스프레소보다는 핸드드립에서 진가를 발휘합니다.항목설명생산지 케냐 중앙 고지대, 마운트케냐 인근, 고도 1,500~2,000m 가공 방식 워시드 맛의 특성 블랙커런트, 자몽, 와인향, 강한 산미와 묵직한 바디 최고 품질 등급 AA (스크린 사이즈 17 이상)
🍫 3. 과테말라 안티구아 (Guatemala Antigua)- 🌋 화산 토양에서 재배되는 과테말라 안티구아는 균형 잡힌 바디감과 향미 덕분에 많은 로스터리 카페의 블렌드 베이스로도 사랑받고 있어요.
- 항목설명
생산지 과테말라 안티구아 지역, 고도 1,500m 이상 가공 방식 워시드 맛의 특성 다크초콜릿, 구운 견과류, 카라멜, 부드러운 산미 최고 품질 등급 SHB (Strictly Hard Bean)
🌰 4. 브라질 산토스 (Brazil Santos NY2) - 🌞 산미가 적고 부드러우며 고소한 커피를 선호하는 한국인 입맛에 잘 맞는 원두예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라떼에 잘 어울립니다. -
항목설명
생산지 브라질 상파울루 근처 산토스 항구 수출 지역 가공 방식 내추럴 (건식), 파ulped 내추럴도 존재 맛의 특성 구수한 견과류, 밀크초콜릿, 낮은 산미, 부드러운 바디감 최고 품질 등급 NY2 17/18 (결점 수 4개 이하 + 큰 원두)
🧁 등급만이 전부는 아니지만…
커피의 등급은 맛을 결정짓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에요.
하지만 분명한 건,
등급을 알게 되면 내가 마시는 커피의 배경과 이야기,
그리고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
💡 마무리하며
다음에 커피를 고를 땐 원산지뿐 아니라
등급이 무엇인지, 그 기준이 어디서 왔는지도 한 번 살펴보세요.
그 한 잔은 더 깊고, 더 특별하게 다가올 거예요. 😊☕💛
반응형